레이블이 구글 소개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구글 소개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0년 10월 16일 토요일

구글 복리후생 (Google Employee Benefit Programs)

구글 복리후생
Google Employee Benefit Programs
 
구글코리아의 복지혜택
자유로운 근무시간
자유로운 복장
오피스 내 마사지 혜택 (주 2회 전문 마사지사가 오피스 방문)
전 직원에게 스톡 옵션 부여
뷔페식 점심 식사 (간단한 조식 제공)
시간 외 근무에 대해 야근식대 지원
다양한 종류의 간식 제공
경조 휴가 및 경조금 지급
출산 휴가 및 혜택 (산전후 출산 휴가 제도, 해당 남자 직원 2주 유급 출산 휴가, 출산 외식 비용 지원 혜택)
병가 제도
근속 휴가
직원 채용시 추천 보너스 제도
교통비 지원
건강 유지비 지원
통신지 지원
DSL Connection 지원
Self-Development 프로그램 운영
무료 건강 검진
전 직원 대상 생명 및 상해보험 가입
여행보험
명절 선물 지금 외.

구글 채용 (Google Recruiting)

구글 채용
Google Recruiting
 
구글에서 일하는 10가지 이유
 
첫째, 사람과 정보를 이어준다.
매달 수백만의 방문객들이 방문하면서 구글은 마치 좋은 친구와 같이 일상생활에서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구글은 만족스러운 삶을 살기위해 필요한 정보와 사람을 이어준다.
 
둘째, 인생은 아름답다.
신념에 부합하는 제품을 개발하고 그 과정에 함께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수 있다는건 가슴 벅차고 아름다운 일이다.
 
셋째, 감사가 가장 좋은 동기부여이다.
그래서 우리는 재미를 추구하고, 의사, 치과의사, 마사지와 요가, 전문적인 계발 기회, 데이케어(탁아소), 해안선 달리기 오솔길, 그리고 하루종일 먹을 수 있는 많은 스낵들을 구비하는 등, 직원들이 일하기에 좋은 고무적인 근무환경을 창조해 왔다.
 
넷째, 일과 노는 것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코딩을 하면서 동시에 퍽(아이스하키용 고무 원반)을 패스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섯째, 우리는 직원들을 사랑한다.
그리고 직원들도 그것을 알기를 원한다. 구글은 의료 프로그램과 퇴직금(401K), 스톡옵션, 출산휴가와 육아휴가뿐만 아니라 그 밖에도 많은 혜택들을 제공한다.
 
여섯째, 혁신은 우리의 혈통이다.
최고의 기술도 개선될 수 있다. 우리는 구글 사용자들을 위해 좀더 관련성있고, 쓸모있으며 보다 빠른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 끊임없이 개선하고 발전하고 있다. 구글은 전세계의 정보들을 관리하는 기술 리더이다.
 
일곱째, 다양한 문화와 사람들이 있다.
구글러들 중에는 전 신경외과 의사, CEO, 미국 퍼즐 우승자에서부터 악어 레슬링 선수 그리고 해병까지 다양하다. 그들의 배경이 무엇이든지간에 구글러들은 즐거운 회사를 만드는 데 기여한다.
 
여덟째, 사람을 세상과 연결시키고 세상을 더 좋은곳으로 만든다.
모든 나라와 모든 언어를 쓰는 사람들은 우리의 서비스를 이용한다. 글로벌하게 생각하고, 행동하고, 일을 하는 우리는 더 좋은 세계를 만들기 위해 노력한다.
 
아홉째, 두려움 없는 창의성으로 사람들에게 유용하게 쓰일 제품을 만드는 기회를 가진다.
아직도 많은 문제들이 해결되지 않았다. 이 곳에서 여러분의 창의적인 생각은 매우 중요하며, 탐구가치가 있다. 여러분은 많은 사람들이 사용할 혁신적인 제품을 만들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열째, ‘건강에 좋은 공짜 점심을 매일 준다’는 것이다.
우리는 사랑으로 만든 건강에 좋고 맛있는 점심을 무료로 매일 제공한다.
 
채용정보 : www.google.co.kr/jobs 참조

구글 문화 (Google Culture)

구글 문화
Google Culture
 
구글은 급속도로 몸집이 커지고 있으나 여전히 작은 회사가 지니는 문화와 느낌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구글 플렉스 (Google Plex) 본사 건물에서 구글러(Googler : 구글의 독특한 기업 문화에 대한 구글 내부인들이 붙인 명칭)들은 구글 카페 (예, ‘찰리스 플레이스’ 레스토랑)에서 음식을 먹고 사소한 것부터 기술적인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대한 열린 대화를 즐깁니다.
구글이 가장 강조하는 부분은 Innovation이며 기업 내에 상하구분이 없는 자유로운 분위기를 유지하며 각각 모든 직원이 하는 일은 구글의 성공을 위해 동등한 입장에서 중요하게 여겨집니다.
구글의 인재채용 정책은 차별없이 경력과 능력에 의한 채용입니다. 구글 R&D 센터는 전세계 곳곳에 위치하며 여러 지역의 훌륭한 인재를 채용하고 있으며 다양한 언어와 문화를 가진 직원들이 함께 어울려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인재상
구글이 원하는 인재상은 열정적이고 창의적이며, 자신의 분야에 전문가입니다. 그러나 그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구글과 문화가 맞는 구글리(Googley)한 사람이어야 합니다. “구글리”하다는 것은 겸손하며, 다른 동료와 함께 일하며, 언제나 서로를 돕고 수평적으로 오픈된 근무환경을 즐길수 있는 사람을 말합니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그리고 열린 사고로 동료와 힘을 합해서 선(善)을 이루는 사람들. 그런 ‘구글리’한 사람을 원하는 것은 엔지니어나 스텝부서 모든 직군에 공통사항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일단 그 위치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어서 채용된 사람에게는 누가 어떤 지시를 내리는 것이 아니라 본인이 자신의 할 일과 업무성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믿고 맡기게 됩니다. 또한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동료들간의 유기적인 협조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구글 엔지니어링 부문 채용 과정에서도 후보자의 기술적인 역량 뿐 아니라 구글리 여부도 함께 평가하고 있습니다.
 
혁신적인 (innovative) 회사 구글
1) 질문으로 시작해서 나오는 혁신성(Innovation)
회사 운영방식은 대답(answer)이 아니라 질문(question)하기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예를 들어 다른 기업들이 절대로 안된다고 말하는 부분에 있어 구글러는 “왜 안되지? 라는 질문으로 시작합니다. 전략을 세우는 과정에서도 먼저 질문으로 시작하여 대화를 끌어내며 대화를 통해 해결방법을 도출하고 혁신적인 생각을 창출합니다. 혁신은 어느날 갑자기 생기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질문을 통해 문제를 풀어나가는 구글의 운영방식에서 만들어집니다.
 
2) 개인관심분야에 20% 시간활용
구글 엔지니어들은 개인이 관심갖는 분야 또는 프로젝트에 시간의 20%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 관심 프로젝트가 돈이나 회사 매출에 연관성이 있어야 하는 것은 절대 아니며 이러한 개개인의 프로젝트에 대해 구글은 물심양면의 지원을 하고있습니다. 구글의 핵심 경쟁력은 여기서 비롯되며, 데니스 황의 대부분의 로고 디자인도 그의 20% 시간활용을 통해 만들어진다고 합니다.
구글의 성공비결이라고 까지 일컬어 지는 “20% 시간”은 구글의 초창기 시절부터 시행되어온 정책으로, 이를 통해 구글은 “창의성을 장려하라”는 구글의 경영방침을 성공적으로 수행해왔습니다. (“창조성을 장려하라”는 에릭 슈미트 회장이 말하는 ‘구글의 10가지 황금룰’ - Google's 10 Golden Rule -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혁신과 창의력이 기반인 구글에서 개발자들에게 자신의 창의력을 발휘할 시간적 기회를 주는 이 정책은 구글의 많은 혁신적이고 핵심적인 서비스나 제품들을 만들어 내기도 했습니다. 예를 들어, 구글 뉴스(Google News)는, 지메일(Gmail), 구글맵스(Google maps) 등이 구글의 20% 시간을 통해 만들어진 제품들입니다. 이는 또한 구글의 상향식 (Bottom-up) 방식의 민주적 의사 결정에 의해 서비스를 만든다는 독특한 문화를 잘 보여주는 예이기도 합니다.
모든 직원들이 접근할 수 있는 기반 플랫폼을 기초로 하여 소규모 프로젝트로 시작되며, 만약 자기가 하려는 일이 아직 프로젝트화 되어있지 않다면 매니저와의 협의를 통해 자신의 아이디어로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할수 있습니다. ‘20% 프로젝트’란 용어를 쓰는 것은 자신의 업무 시간중에서 20%만 쓰는 것을 의미하지만, 이 ‘20% 프로젝트’가 어느정도 성과를 거두고 더 큰 프로젝트로 개발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승인을 거쳐 정식 프로젝트로 승격됩니다. 이런 경우에 이 프로젝트는 이제 ‘80% 프로젝트’가 되어 개발자는 자신의 모든 식나을 이 프로젝트에 전념할 수 있게 되기도 합니다.
현재 “20% 시간”에 참여하고 있는 그룹들은 인터그룹(intergroup)이라 불리며 크게, 다큐멘테이션(Documentation), 채용(Hiring), 멘토링(Mentoring), 수리(Fixit), 테스트(Testing), 그리고 가독성(Readability) 등으로 나뉘어집니다. “20% 시간”을 통해 엔지니어들은 다른 엔지니어들과의 좀 더 오픈되면서도 긴밀한 네트워킹을 형성할 수 있으며, 서로를 돕게 됩니다. 또한 자신들이 원하는 일을 할 수 있는 기회를 통해 자아실현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자발적인 참여로 이루어지는 프로젝트는 창의적인 직원들을 더 창의적이고 열정적으로 만들며, 이는 혁신이 생명인 기술 기반의 회사를 계속 새롭게 만드는 밑거름이 되고 있습니다.
 
3) 창의성과 혁신성을 이끌어내는 근무환경
일터는 마치 회사라기보다는 대학교 같은 분위기입니다. 책에서나 나올법한 저명한 사람들이 바로 옆에서 함께 일하기 때문에 항상 배움의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습니다.
회의 시간이 특별히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며, 밤이나 새벽에 복도를 돌아다니며 자유롭게 토론을 벌이는 모습은 아주 일반적인 모습입니다. 구글은 애완동물 친화적인 곳이며 주변 동료의 허락만 있다면 애완견을 데려올 수도 있습니다.

구글의 서비스 및 제품 (Google Service & Product)

구글의 서비스 및 제품
Google Service & Product
 
구글 검색 - 구글의 페이지 순위(PageRank)는 500개의 변수와 20억개의 용어가 있는 세밀한 공식을 사용하여 객관적인 웹 페이지 순위를 계산
 
구글 애드워즈 (Adwords) - 타겟 고객이 홈페이지로 직접 연결. 광고 비용을 쉽게 통제, 광고가 클릭될 때만 광고비를 지불. 233개국의 47가지 화폐 사용 가능
 
구글 애드센스 (AdSense) - 사이트와 사이트 콘텐츠를 정확히 타겟팅하는 문자 광고 및 이미지 광고를 제공. 검색을 위한 AdSense를 사이트에 추가할 경우 AdSense는 검색 결과 페이지에도 타겟팅된 광고를 제공. 상위 20개 네트워크의 75%를 포함. 28개 지역에서 사용.
 
Gmail - Google의 무료 웹 메일 서비스. Gmail에는 Google 검색 기술과 약 2800 MB 이상의 저장 공간이 기본으로 제공.
 
구글 그룹스(Groups) - 이메일과 웹페이지를 통해 여러 온라인 그룹끼리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기능
 
구글 워드프로세서 & 스프레드쉬트(Docs & Spreadsheet) - 2007년 2월 7일 국내 서비스를 시작. 온라인 상에 문서를 저장하고 업데이트하는 웹 기반 무료 워드 및 스프레으 쉬트 프로그램.
 
구글 데스크톱 검색 - 아웃룩 이메일, 파일, 메신저 대화내용 및 열어본 웹페이지를 검색할 수 있는 데스크톱 검색 응용 프로그램.
 
iGoogle - 2005년 5월 서비스 제공. 사용자 개개인에 최적화된 웹 시작 페이지를 구성. 개인 페이지에서 여러 인터넷 사이트의 정보를 한번에 볼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 미국 사용자중 20%이상이 ‘개인화 홈페이지’를 사용. 사용자들에 의해 만개이상의 콘텐츠가 개인화 홈페이지에 추가. 2007년 4월 iGoogle로 이름 변경.
 
피카사 (Picassa) - 2005년 9월 국내에 런칭. 무료 한글판 사진관리 프로그램으로써 사용자의 모든 앨범을 정렬하고 컴퓨터에 있는 이미지를 검색. 자동으로 날짜별로 정리해주며 이름을 바꾸고 사진을 이동시키기가 용이.
 
구글 캘린더 (Calender) - 2006년 4월 중순에 미국에서 첫 서비스를 시작. 캐릭터 간의 비교, 일정 관리를 용이하게 함.
 
구글 툴바 (Toolbar) - 2006년 6월 툴바 4.0으로 국내 런칭. 검색창에 단어를 입력할 때 추천 검색어가 바로 표시되어 지능적으로 검색.
 
구글 토크(Talk) - 2005년 8월 미국에서 첫 서비스. 세계 곳곳에 있는 친구들에게 아무 때나 전화를 걸거나 인스턴트 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 간편한 서비스.
 
구글 데스크톱 (desktop) - 2005년 3월 7일 첫 한국어 서비스를 개시. Google 데스크톱을 통해 컴퓨터나 웹 정보에 편리하게 엑세스할 수 있고 열람한 이메일, 파일, 음악, 사진, 채팅, Gmail 및 웹페이지의 전체 텍스트를 검색하는 기능 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데스크톱 검색 응용 프로그램.

구글 철학(Google Philosophy)

구글 철학
Google Philosophy
 
구글의 10가지 웹에 대한 철학
 
1. 사용자에게 초점을 맞추자
서비스 초창기부터 구글은 사용자가 가장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습니다. 구글은 큰 수익모델이 된다고 하더라도 사이트를 방문하는 사용자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 콘텐츠에 대해서는 절대 타협하지 않는 아래와 같은 원칙을 고집하여 왔습니다.
- 인터페이스는 명확하고 간단해야 한다.
- 페이지는 가능한 한 빠른 시간 내에 로드되어야 한다.
- 검색 결과의 게제순위를 절대로 판매하지 않는다.
- 관령성 있는 광고만 제공해야하며, 광고와 검색결과를 혼동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2. 한 분야에서 최고가 되자.
구글은 검색엔진 기업입니다. 첫 번째로 꼽을 수 있는 구글의 강점은, 검색관련 문제해결에 주력함으로써 다른 회사들이 해결하지 못하는 복잡한 검색문제를 해결해 왔으며 이를 통해 최고로 인정 받는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 점입니다. 이제 수백만 사용자가 빠르게 정보를 검색하고 원활하게 검색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검색기능의 혁신을 위해 노력한 결과 이제 구글은 Gmail, 구글 데스크톱, 구글 맵스(Google Maps) 같은 새로운 서비스들을 계속 개발해 선보이면서 검색 서비스 기능을 새로운 여역으로 확대하고 사용자들이 일상 생활에서 훨씬 더 많은 정보를 접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3. 느린 것보다 빠른 것이 낫다
구글은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한 즉시 만족을 느낄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사용자가 바로 해답을 얻기를 원하는 것은 당연한 요구입니다. 구글은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사용자들이 사이트에서 오래 머물기 보다는 최대한 빨리 사이트를 떠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기업입니다.
 
4. 웹 민주주의는 지켜져야 한다.
구글은 어떤 사이트가 가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는지 결정하기 위해 웹 사이트를 게시하는 수천만 명의 사용자들에게 의존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편집자 그룹에 의존하거나 특정 요어가 나타나는 빈도만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구글은 PageRank™라는 혁신적인 기술을 이용해 모든 웹 페이지의 순위를 결정합니다. PageRank는 특정 웹 페이지에 링크된 모든 사이트를 평가하고 이들 페이지에 링크된 사이트를 부분적으로 참고하여 평가하고 값을 지정합니다. 웹의 전체 구조를 분석하여 어떤 사이트가 최상의 정보 출처로 “뽀혀TSms지” 결정할 수 있습니다. 즉, 이 사이트에 있는 정보가 가장 많은 관심을 받았음을 의미합니다. 이 기술은 웹 규모가 커지고 새로운 사이트가 정보의 출처가 되고 그 사이트에 대한 투표가 다시 이루어짐에 따라 진화하게 됩니다.
 
5. 데스크톱에서만 검색이 가능한 것은 아니다.
세계가 점점 더 모바일화 되면서 사람들은 위치에 대한 제약 없이, PDA나 무선 전화를 통해, 심지어는 자동차 안에서조차 정보를 편리하게 제공받기를 원합니다. 이 분야에서 구글이 이룩한 기술 혁신으로는 인터넷이 가능한 휴대폰에서 데이터를 찾을때 키패드에 입력하는 횟수를 줄여주는 구글 번호 검색(Google Number Search)과 HTML로 작성된 페이지를 휴대폰의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읽을 수 있는 형식으로 전환하는 동적 변환 시스템을 들 수 있습니다. 이 시스템을 사용하면 원래는 웹 페이지 표시가 불가능한 Palm PDA 및 일본의 I-mode, J-Sky, EZWeb과 같은 장치에서 다양하고 많은 페이지를 볼 수 있습니다.
 
6. 부정적인 방법을 쓰지 않고도 돈을 벌 수 있다.
구글은 검색기술을 다른 회사에 제공하고 AdWords와 AdSense와 같은 온라인 키워드광고 서비스를 통해 구글 사이트 및 기타 사이트에 게재되는 광고 서비스로 매출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글에서 광고를 본 적이 없으신 사용자도 있을 것입니다. 그 이유는 광고가 게재되는 검색 결과 페이지와 고아고가 관련성이 없는 경우에는 구글 검색 결과 페이지에 광고를 게재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구글의 광고는 사용자가 찾으려 하는 대상과 관령성이 있을 때에만 검색 결과 위쪽이나 오른쪽에 스폰서 링크로 나타납니다.
또한 구글은 사용자가 요청한 검색내용을 보는 데 방해가 될 수 있는 팝업 광고를 절대로 허용하지 않으며 광고 게재는 “스폰서 링크”로 확실하게 명시하여 보여줍니다. 검색 결과의 객관성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 구글의 가장 핵십적인 방침이기 때문에 구글은 검색 결과에서 구글 파트너가 더 높은 순위를 얻도록 게재순위를 조작하지 않습니다.
 
7. 정보는 무한대다
구글의 엔지니어들은 다른 어떤 검색 서비스보다 많은 인터넷 상의 페이지를 색인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전화번호, 주소검색기능 및 기업전화번호부를 추가하는 등 새 데이터베이스를 통합하고, 10억개가 넘는 이미지들을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거나 원래 PDF파일로 작성된 페이지를 보는 방법 등 독창적인 검색기능을 개발해왔습니다. 또한 PDF로 검색결과를 보는 것이 인기를 얻자 구글은 검색에 Microsoft Word, Excel, PowerPoint 등 십여 가지 형식으로 만들어진 파일 형식까지 포함시켰습니다. 무선 사용자를 위해서는 HTML 형식 파일을 모바일기기에서 읽을 수 있는 형식으로 변환하는 독특한 방법을 개발했습니다. 전세계 모든 정보를 검색하고 사용하기 위한 방법을 계속해서 연구하는 한, 위와 같은 구글의 노력은 끊이지 않을 것입니다.
 
8. 정보 요구에는 국경이 없다.
구글의 본사는 캘리포니아에 위치하고 있지만 전세계에 지사를 두고 전세계 사용자들이 정보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구글의 검색 결과는 사용자의 환경 설정에 따라 35가지가 넘는 언어로 표시되며, 모국어와 상관없이 모든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하고, 약 100가지 언어로 사용자가 정의할 수 있는 번역 기능을 제공합니다. 한편 새로운 언어를 신속히 추가하기 위해 Google.com 웹 사이트에 있는 자동화 도구를 통해 자원 봉사자들이 번역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9. 꼭 정장을 입어야만 진지하게 업무에 임하는 것은 아니다.
구글의 창업자들은 검색 외에는 어떤 것도 심각하게 받아들일 필요는 없다고 말합니다. 업무는 힘이 들더라도 즐겁게 할 수 있어야 한다는 믿음을 바탕으로 회사를 설립했기 때문에 구글의 기업 문화는 다른 기업과 다릅니다. 온라인 서비스와 관련해 항상 고객이 우선인 것처럼 일상 생활에서 구글은 직원을 우선으로 생각합니다. 팀으로서의 성취와 개개인의 성취에 대한 자부심이 회사의 전체적인 성공에 기여할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아이디어를 교환하고 시험해보고 실제로 시행해보기까지 모든 과정이 어지러울 정도로 민첩하게 진행됩니다. 이처럼 대화가 편안한 업무환경은 생산성 향상은 물론 동료애를 꾀하고, 또한 수만명의 사용자들이 구글 검색결과를 신뢰하고 있다는 사실이 더욱 의욕을 북돋아 줍니다.
 
10. 최고에 만족하지 말자
항상 기대를 능가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노력하는 구글에게 최고란 끝이 아닌 시작일 뿐입니다. 기술 혁신과 반복을 통해 구글은 전세계적으로 아직 고객들이 표출하지 않은 요구까지 미리 예측하여 새로운 표준을 수립하는 제품과 서비스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왔습니다.

구글 회사 정보 (About Google)

구글 회사 정보
About Google
 
구글은 전세계의 정보를 체계화해 누구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Misson)로 하고 있습니다.
 
구글의 창립자인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은 스탠포드 대학 기숙사에서 인터넷상의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찾을 수 있는 새로운 온라인 검색 기술을 개발하여 전세계 사용자들에게 빠르게 전파함으로써, 그 목표(Misson)를 향한 첫걸음을 내디뎠습니다. 이제 구글은 전세계 검색업계 최고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세계 최대 규모의 검색기업으로 널리 인정받고 있습니다.
 
현재 Google.com을 비롯한 전세계 구글 사이트에서는 36개의 다양한 언어로 된 정보를 검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용문, 지도, 뉴스 헤드라인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미국 내 모든 도시의 전화번호부와 수십억 개의 이미지, 그리고 1981년부터 수집된 10억 개가 넘는 게시물이 보관된 세계 최대의 Usenet 메시지 아카이브도 검색할 수 있습니다. 한편, 사용자는 구글 사이트를 방문하지 않고도 이러한 정보를 구글 툴바를 사용하여 인터넷상의 어디에서나 검색할 수 있습니다. PC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WAP나 I-mode 전화 등 다양한 무선 플랫폼을 통해 구글의 검색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검색 서비스의 실용성과 편리함으로 구글은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검색브랜드가 되었습니다.
 
구글(Google)의 의미
구글(Google)은 수학용어인 ‘구골(Googol)'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구골(Googol)은 1뒤에 0이 100개가 있는 숫자로, 이러한 큰 수 만큼 인터넷의 광대한 정보를 모두 검색하도록 하겠다는 구글의 의지를 보여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