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구글러 인터뷰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구글러 인터뷰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2년 10월 14일 일요일

구글러 인터뷰 - BOLD Internship


BOLD Internship Interview

인터뷰 진행: 구글 캠퍼스 앰배서더 2기 권효정, 박정환, 주은진


1. 간단한 자기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가영) 안녕하세요, 저는 구글 TV 팀에서 인턴을 하고 있는 이가영입니다.
민정) 반갑습니다, 구글 TV 팀에서 일하고 있는 고민정입니다.
나헌) 안녕하세요, 함께 구글 TV 팀에서 인턴으로 일하고 있는 김나헌입니다.
예진) 안녕하세요, 저는 Knowledge 팀에서 일하고 있는 김예진입니다.
다영) 안녕하세요, 구글 TV 팀에서 인턴으로 일하고 있는 김다영입니다.


2. BOLD 인턴십이 이번에 처음으로 진행되었는데요, 어떻게 알고 지원하시게 되었나요?
가영) 페이스북에 앰배서더가 올린 홍보 글을 봤어요. 학교에서 유인물을 봤었고요. 사실 지난 번에 다른 인턴을 신청했다가 잘 안되었었는데, 이번에 BOLD 인턴십을 한다는 것을 알고 다시 신청했습니다.
민정) 저도 예전에 지원했었던 경험이 있었는데요, 이번에 리쿠르트팀에서 메일을 보내주셨더라고요. 그걸 보고 지원하게 되었어요.
나헌) 학교에서 앰배서더분의 유인물을 보고 지원했어요.
예진) 학교 게시판에서 보고 지원했는데, 딱히 앰배서더분께 도움을 받지는 못한 것 같아요. (웃음)
다영) 저는 지금 휴학 중인데, 회사 경험을 해보고 싶었어요. 그러던 와중에 동기가 알려줘서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3. 구글에 지원하신 이유가 있으신가요?
가영) 구글의 복지는 유명해서 알고 있었어요. 외국계 기업이고 개발자 중심의 회사여서 개발자들에게 대우가 좋다는 얘기를 많이 듣고 지원했습니다.
나헌) 저도 예전부터 구글에 대해 들어서 알고 있었어요. 구글 검색엔진의 로고가 바뀌는 것들도 종종 봤고요. 아기자기한 이미지랄까요?
다영) 기본적으로는 경험이 쌓고 싶어서 지원했어요. 얘기는 많이 들었지만 얘기만 들어서는 잘 모르기 때문에 직접 경험해보고 싶기도 했고요. 기분좋게 일할 수 있을 것 같아서 지원해봤어요.
민정) 저도 다른 분들처럼 엔지니어 중심의 회사라고도 많이 들었어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도 쓰고 있고요. (웃음) 특히 면접보러 왔을 때는 다들 자유로운 복장으로 일하는걸 보면서 놀랐고, 일해보고 싶었어요.
예진) 예전에 인턴을 했었던 엔지니어의 초대로 방문해봤었는데요, 그 때 구글의 자유로운 분위기에 대해서는 직접 보기도 했었어요. 방학 중에 하는 인턴십을 찾다가 마침 BOLD 인턴십이 있길래 지원했어요.

친절하게 인터뷰에 응해주신 BOLD 인턴분들

4. BOLD 인턴십 준비는 어떻게 하셨었나요? 면접과 관련해서 기억에 남는 일이 있으시다면 함께 말씀해주세요.
민정) 추천 받은 책과 구글 면접 대비에 대한 내용을 구글링을 해서 자료를 수집하고 준비했어요. 면접은 저를 떨어트리려고 하는 면접이라는 느낌이라기보다는 문제를 같이 풀어보면서 도와주시는 느낌이 강했어요. 요즘은 자동완성이 지원되는 툴들을 많이 쓰다보니 어떤 함수들의 사용법은 갑자기 생각 안나는 경우가 있었는데요, 중간 중간에 그런 것들도 도와주시고 하셨어요.
예진) 학교 교재와 따로 구매한 책들을 보고 준비를 했었어요. 준비를 할 시간이 많지 않았던 데다가 면접 때는 못 풀 것 같은 문제도 있어서 걱정을 많이 했는데 다행히 결과는 좋았어요. 면접 과정에서는 코드를 수정할 때마다 복잡도를 물어보신다거나 하는 식으로 정확히 이해하고 있는지를 물어보셨던 것 같아요. (김예진님께서는 이후 회의가 있으셔서 먼저 자리에서 일어나셨습니다.)
다영) 이전에 기술 면접을 해본 적이 한 번도 없어서 주로 관련 서적들과 자주 사용하는 언어에 대한 리뷰를 하는 것으로 준비를 했어요. 저같은 경우에는 외국인 면접관 2분이 들어오셔서 영어로 면접을 봤고요, 개념을 물어보는 질문과 코딩을 해보는 문제가 있었어요. 전공 관련 개념들을 확실히 알고 있는지가 중요했던 것 같아요.
가영) 다른 분들과 비슷하게 면접 가이드를 중심으로 준비를 했어요. 면접은 한국어와 영어로 봤고요, 중간에 실수를 했었을 때는 이를 인정하고 수정할 수 있는 기회도 주셨어요. 전공과 관련해서 개념을 많이 물어보셨고요.
나헌) 저는 기술 면접 관련 책을 좀 봤는데 큰 도움은 안된 것 같아요. 면접 때는 면접관께서 반바지를 입고 들어오셔서 좀 놀랐고요. 문제가 생각보다 어렵지는 않았는데 풀이 과정에서 많은 것들을 물어보시기도 하고, 중간에 막혔을 때는 도움도 받았어요.


5. 여성 엔지니어의 수가 적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혹시 생각해보신 해결책이 있으신가요?
민정) 여성 엔지니어가 적기도 하지만 적응을 못하거나 커뮤니케이션을 잘 못 할 것이다 라는 편견도 있는 것 같아요. BOLD 인턴십이 좋은 여성 엔지니어 양성을 통해 좋은 예를 이끌어 낼 거라고 생각해요.
다영) 민정님과 비슷한 생각이예요. 여성 엔지니어로서 좋은 레퍼런스가 적은 것 같아요. 동기들도 전공을 깊게 공부하기 보다는 교직이나 다른 쪽으로 연계해서 나아가려는 경향이 있고요. 그게 다 좋은 레퍼런스가 적기 때문이 아닐까요? BOLD 인턴십을 통해 좋은 레퍼런스가 많이 생겼으면 좋겠어요.
나헌) 공대와 여성의 조합에서 좀 멀어보이는 이미지도 있는 것 같아요. 전반적으로 엔지니어링에 대한 여성들의 지원도 부족한거 같고요. 또한 스스로 공부하려는 노력도 필요한 것 같아요. 저는 이번 BOLD 인턴십을 통해서 전공 분야에 대해 관심이 많은 다른 학생분들을 만나볼 수 있었던 것이 많이 자극이 된 것 같아요.
가영) 저도 BOLD 인턴십이 자극이 되는 것에는 공감해요. 특히 구글에서 일하시는 다른 여성 엔지니어분들을 보면서 자극도 많이 받았고요. 앞으로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도 했어요.


6. 인턴십을 하시면서 힘드셨던 일이나 에피소드 같은게 있으신가요?
가영) 매니저분이 캐나다분이시라, 영어로 의사소통을 해야되는게 쉽지 않은 것 같아요. 한국어도 잘 알아들으시는 것 같은데...
나헌) 처음에 많이 힘들었던 것 같아요. 임베디드쪽 일을 하고 있는데, 처음에는 환경 설정 등을 하는 것만 해도 많은 시간이 걸렸었어요.
다영) 인턴을 정규직과 같은 대우를 해주시는 것이 좋았어요. 3분기 브리핑 시간에 인턴들도 참석해서 함께 회의를 하거나 하는 등으로요.


7. 마지막으로 인턴을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조언해주세요.
민정) 구글이라는 이름에 도전하기도 전에 너무 겁을 먹는 것 같아요. 자기 실력을 너무 저평가하지 말고 일단 지원해보는 것이 필요한 것 같아요.
나헌) 저도 그렇게 생각해요. 저는 인터뷰를 하면서 실수도 많이 했지만 이런 경험을 통해 스스로 평가해볼 수 있었던게 좋았던 것 같아요. 한 번쯤 해보면 좋은 경험이라고 생각해요.
가영) 이번 BOLD 인턴십과 같이 여성만 뽑는 것은 참 새로운 것 같아요. BOLD 인턴십이 계속 있을 것이라고 들었는데, 이렇게 기회가 주어졌을 때 잘 활용하려는 것이 필요한 것 같아요.
다영) 악기 연주를 할 때 고수와 함께 연주할 때 실력이 급속도로 증가한다고 하더라고요. 구글에는 실력자가 많이 계시고, 대학생 인턴은 당연히 실력차가 날 수 밖에 없지만 함꼐 일하면서 실력을 기를 수 있는 좋은 기회인 것 같아요. 기회가 있다면 꼭 지원해보시기 바랍니다.

BOLD 인턴분들과 구글 앰배서더들이 함께~


2012년 10월 10일 수요일




1. 간단한 소개를 부탁 드립니다.

현재 IT Field Tech Intern으로 근무하고 있는 나지훈이라고 합니다. 1년 동안 인턴 생활을 하기로 하였고 2012 2월 말부터 시작했습니다.

2. 인턴을 희망하는 학생들을 위해 면접은 어떻게 준비하셨고,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말씀해주세요.

저는 면접을 2번을 보았습니다. 첫 번째 면접은 서울 오피스 담당하시는 분과 한 시간 동안 진행되었고요. 저의 성격, 성향 위주로 많이 물어보셨습니다. 두 번째 면접은 일본에 계신 매니저 분과 면접을 보았습니다. 2시간 동안 진행되었고 문제해결에 있어서 어떻게 생각하고 대응하는지에 대해서 많이 물어보셨습니다. 기본적인 업무자체가 프로그래밍보다 maintenance trouble shooting이 주입니다. 문제가 하나 생겼을 때, 발생할 수 있는 경우의 수가 많으므로 이러한 것들을 조목조목 체크하는지 확인하셨어요. 물론 2번의 면접 모두 영어로 진행 되었습니다.

그리고 면접에서 어떤 질문들이 나올지 모르기 때문에 준비한다는 것 자체가 쉽지 않은 일이라고 생각해요. 그래서 저는 특별히 면접준비 하지 않았습니다.



친절하게 인터뷰에 응해주시는 나지훈님과 앰배서더들



3. 면접을 영어로 보셨는데 면접영어준비는 어떻게 하셨나요?

영어공부를 따로 한적은 없어요. 단어를 드문드문 이야기하더라도 최대한 제가 알고 있는 것을 말하려고 노력했어요. 절박하다면 용기 있게 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

4. 구글 인턴을 하기 전 학부 생활은 어떻게 보내셨나요?

학부시절에 동아리활동도 하고 코딩도 많이 했었어요. 삼성 소프트웨어 멤버쉽 활동도 했었어요. 또 군대를 아프리카로 다녀왔어요. 코이카라고 외교부에서 가는 것으로 2년 반 다녀왔어요. 그곳에서 IT Volunteer로 일했습니다.

5. IT Field tech intern 은 어떤 일을 하고 계시는지 좀 더 자세히 말씀해주세요.

오피스 내에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IT support 일을 하고 있고 있습니다. 일하시는데 있어서 IT 문제가 생기면 support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사무실 내 서버랑 네트워크 관리를 하고 있으며 주로 인프라 쪽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실제적으로 maintenance, trouble shooting, user support 이 정도로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

6. 인턴 후에도 계속 구글에서 정규직으로 일하고 싶은신가요?

기회가 주어진다면 구글에서 계속 일하고 싶어요. 다른 곳에서 인턴을 해보지는 않았지만, 자유로워서 좋아요.
일하면서도 시간을 쓰는데 있어서 융통성 있게 시간을 쓸 수 있으니까요.
하지만 저희팀은 support를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9시 출근을 정확히 지키고 있습니다. 하하하하^^

7. 마지막으로 인턴을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조언해주세요.

망설이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구글이라고 하면 '내가 이런데 지원해도 될까?' 라고 엄두를 못 내는 경우가 있는 것 같아요. 솔직히 지원한다고 해서 손해 볼 게 없잖아요. 후회를 남기지 않는 것이 중요한 것 같아요.
조금만 시간투자하고 노력해서 자기자신을 보여주었으면 좋겠어요. 막연히 좋아 보이고 내 자리가 아닌 것 같다는 생각에 쉽게 포기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해요. 절박하고 간절하다면 용기를 가지시고 지원하셨으면 좋겠어요.



나지훈님과 구글 앰배서더 권효정, 주은진과 함께~

2012년 10월 9일 화요일

구글러인터뷰








먼저 간단한 자기 소개 부탁 드릴게요!

-       안녕하세요 제 이름은 최재준이고 연세대 응용 통계학과를 졸업했습니다. Google LCS (Large Customer Sales) 팀에 Account Coordinator 인턴으로서 1 2일에 입사해서 현재 7개월 정도 일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저는 김주형이고 서울대 경영대 4학년 재학 중입니다. 5 14일부터 지금까지 최재준님과 같은 부서에서 2달 반 정도 일하고 있습니다. 최재준님은 소비자 엔터테인먼트를 대상으로 일을 하고 있고 저는 자동차와 전자회사의 전략 광고주들과 함께 일 하고 있습니다.

왼쪽에 주형님 오른쪽에 재준님이 포즈를 취하고 있다.

Account Coordinator 가 하는 일은 무엇인가요?

-       재준) 크게 외부적인 일과 내부적인 일이 나뉩니다. 외부적인 일은 예를 들어 GS 건설이 구글과 광고계약을 했다고 합시다. 구글이 가진 여러 가지 제품을 이용해서 광고를 어떻게 구성을 할지 짜는 것은 Account Manager의 일 입니다. 이 사람이 전략을 짜면 실제로 실행을 하는 것이 Account Coordinator 입니다. Operation 적인 일이 굉장히 많고요. 요즘 전략 마케팅 많이 좋아들 하시는데 Account Coordinator는 그런 것 과는 거리가 멉니다. 그러나 Operation은 세일즈에 있어서 꼭 필요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내부적으로는, 구글이 글로벌 컴퍼니이기 때문에 구성이 팀이 대부분 해외에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루 종일 다른 나라에 있는 팀 사람과 이 메일을 주고받고 화상회의도 하면서 일을 처리합니다.
-       주형) 조금 더 보충 하자면 한 마디로, 실제적인 일을 하는 것입니다. 마케팅 전략을 다 짜도 실제로 실행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아닌 것 이거든요. 조금 더 자세히 설명 하자면 구글 광고상품이 크게 애드워즈(검색), 애드몹(모바일광고), 그리고 유투브 이렇게 세 개가 있는데요, 이러한 상품에 광고를 적용해서 내보내는 것이 저희 일입니다. 실제적인 작업과 최적화, 그리고 결과 보고서 까지 말이죠.
 

어떤 계기로 Google 인턴에 지원하게 되셨나요?

-       주형) 인턴을 할 때 실제적인 기술을 배운다기 보다는 다양한 경험을 얻고 싶었기 때문에 인턴자리를 알아볼 때 재미있는 일을 기준으로 찾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Google 이라는 기업 이미지는 창의적이고 활동적이고 자유롭고 한 이미지잖아요? 이런 회사에서 꼭 인턴 해보면 정말 재미있겠다. 싶었습니다. 저는 구글에서 세일즈가 어떤 일을 하는 것인가 잘 몰랐는데 인턴이고 대학생일 때 돈을 버는 힘든 곳에서 일해보는 것도 좋겠다 싶어서 지원했습니다. 학교 커리어 홈페이지에서 공고를 보고 신청했습니다.
-       재준) 저는 원래 한 학기를 더 할 예정이었는데 구글인턴이 되면서 학교를 빨리 졸업해 버렸습니다. 원래 영업 마케팅에 관심이 많아서 다른 인턴도 다 그런 쪽으로 찾고 있었고 구글 인턴 공고를 봤을 때 인턴이니까 경험해 보면 좋겠다 싶어서 들어왔습니다.

혹시 인턴이 끝나고 정 직원 전환의 기회가 주어진다면?

-       재준) 당연히 해야죠! (웃음) 이만큼 좋은 회사가 없어요!
-       주형) 저도 구글이 정말 좋은 회사라서 계속 일 하면 너무 좋을 것 같아요. 우선 아침점심이 너무 맛있어요! 그리고 구글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다양한 경험을 가지고 있고 실력도 있습니다. 이런 사람들이랑 같이 일을 한다는 것이 굉장히 좋은 것 같아요
-       재준) 제가 생각하는 제일 큰 장점은, 본인만 열정이 있다면 정말 다양한 일을 할 수 있어요. 자신이 원하기만 하면 어떤 부서와도 일을 할 수 있고요, 한국 대기업과는 다르게 제가 인턴이라도 사장님이 제 의견에 귀 기울여 줍니다. 구글은 이러한 문화가 잘 정착해 있는 기업 입니다.

인턴을 준비하는 학생들을 위해 인턴을 어떻게 준비하셨고 면접은 어땠는지 말해주세요!

-       주형) 일단 채용 과정은 이렇습니다. 공고를 보고 이력서를 내면 전화 인터뷰를 본 후 두 번의 1:1 인터뷰를 보게 되는데 저는 좀 빠르게 진행 되어서 한 번에 1:2 인터뷰를 봤어요. 한 달 후 미국본사에 서류를 보내서 확인을 받은 후 1-2주 후 에 확정이 됩니다. 면접에서는 이력서를 보고 정말 치밀하게 질문을 합니다. 무엇을 했다기 보다는 왜 했는지, 어떤 것을 느꼈는지가 더 중요해요. 활동을 대충했다면 말문이 딱 막히는 그런 질문을 합니다. 그래서 이력서를 꼼꼼하게 준비하는 편이 좋아요. 그 다음에는 전문적인 경영 질문도 받게 되는데요, 구글의 제품을 예를 들어서 어떻게 돈을 벌어 올지에 대한 질문을 받았어요.
-       재준) 구글 면접과정은 비슷하고요 제가 인턴을 위해서 준비한 것이 있다면 다른 사람과는 구분되는 특이한 경험들이었어요. 제 개성을 유지하면서, 활동을 이어 나갔습니다.  영업 마케팅에 관심이 있다면 남들 다하는 활동들을 이것저것 하지 말고요 몇 가지만 골라서 정말 열심히 해야 되요. 이러한 활동을 제대로 했는지 아닌지는 면접 과정에서 다 드러납니다. 활동을 여러 개 하는 것보다도 몇 가지를 집중적으로 하는 것이 좋은 것 같아요. 그것도 정말 열심히!

그래서 뭘 열심히 하셨나요?

-       재준) 하하하! 저는 전략 분야에 관심이 많아서 활동도 모두 그 쪽으로 했어요. 이 회사 전에는 이랜드에서 인턴도 하고 상해 나가서 인턴도 했어요. 정말 열심히 했어요. 아무것도 안하고 밤새서 그 것만 했어요. 학교 다니면서 현대차에서 진행한 산학협력 프로젝트가 있었어요. 그 과목이 3학점인데 30학점 정도의 로드가 있어서 학생들이 관심은 많지만 정작 참여는 잘 하지 않았어요. 그 과목에 겁먹지 않고 뛰어들어서 정말 열심히 시간을 많이 들여서 했는데 그 부분을 채용과정에서 높게 평가해 주신 것 같아요. 덧붙여서 일 외적인 자신의 특이한 취미생활도 이득이 되는 것 같습니다.  

자신이 생각했을 때 구글 인턴에 뽑히게 된 결정적인 이유가 있다면?

-       주형) 제 이력서가 좀 웃겼을 거에요 다양한 것 많이 해 봤거든요. 제가 동아리 하나를 더 만드려고 하고 있거든요. 그 이야기를 했는데 그 부분을 재밋게 보신거 같아요
-       재준) 저는 이력서에는 개성이 뚜렷해야 된다고 생각해요. 주형님이 다양한 것 많이 해 보셨다고 하셨는데요 그래도 사회 활동 쪽에 포커스를 맞췄거든요. 남들이 하는 것 다 따라해서 컨설팅 한번 했다가 영업 했다가 마케팅 했다가 하면 남들이 한 것 따라한 것 밖에 안되거든요. 결론적으로 이력서를 딱 봤을 때 방향성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죠.

구글은 다국적 회사고 근무환경이 좋기로 유명한데 혹시 야근을 많이 하시나요?

-       주형) 저도 많이 안 할 줄 알았어요. (웃음) 요즘은 올림픽기간이라 광고계약이 많아서 더 야근이 늘어난 것 같아요.
-       재준) 근데 한 가지 다른 점은, 제가 옛날에 있던 회사는 야근이 강요되는 분위기였어요. 근데 여기는 야근을 해야 될 때 자의에 의해서 하게 되는 것 같아요. 구글에서 일 욕심이 있어서 시간을 더 투자해서 하는 일이기 때문에 괴롭거나 억지로 하는 야근이 아니에요. 그래서 야근을 해도 보람이 있어요. (매일 그렇지는 않고요 하하)
구글 엠베서더들과 주형님과 재준님과 포즈잡고!

일이 많을 것 같은데 구글에서 제공하는 여러 복지시설을 많이 활용하시는 편인가요?

-       주형) 사실 할 일이 있기 때문에 업무시간에 가서 게임 방에 가서 게임을 하는 편은 아니고요, 점심 먹고 쉬는 시간이나 기분전환 할 때 가끔 이용하죠. 마사지도 몇 번 받아 봤는데 가면 보통 인턴들이 많아요. (웃음)
-       재준) 사실 다른 회사에도 구글 정도는 아니더라도 복지시설이 다 있을 텐데, 눈치 보여서 사용 못하는 부분이 있을 것 같아요. 구글은 그런 점은 덜하다고 말 할 수 있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인턴을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       주형) 어느 회사든 지원할 때 자신이 이 회사에 꼭 부합한다는 점을 강조해야 합니다.  이력서를 쓸 때뿐만 아니라 자기 인생에 키워드가 잇고 테마가 있는 삶을 살아야 될 것 같아요. 요즘 대학생들이 마음이 급하잖아요. 취업을 해야 되니까 인턴도 하고저는 대학생들은 다양한 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내가 들어갔을 때 제일 자신과 맞을 거 같은 그런 회사에 들어간다면 인턴도 다양한 삶의 일부가 될 것 같아요.
-       재준) 저는 지원서와 이력서에 차이를 두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지원서는 그 회사만을 위한 것이고 이력서는 자기 인생의 정리인 것 같아요. 어떤 활동을 하던지 그때그때 이력서를 정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렇게 이력서가 쌓이게 되고 나중에 지원서를 쓸 때 그 이력서에서 필요한 부분만 꺼내서 쓰는 거죠. 그렇게 하지 않고 지원할 때 마다 복사 붙이기를 한다거나 그때그때 새로 만들어 낸다면 나중에 서류를 합격하더라고 면접에서 다 드러나게 될 거에요. 그런 점을 잘 고민해서 준비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2011년 7월 8일 금요일













인터뷰 진행
앰베서더 장혜진




































Francois Wouts  : For a software engineering internship, I worked a lot on my computer science classes. I tried to memorize all the different sorting algorithms (bubble sort, insert sort, quicksort, heapsort), review the most common graph algorithms, learn about the different types of trees and how to use them... I also spent a lot of time practicing on the most common computer languages (C++, Java, JavaScript, Python). It's extremely important to be able to implement quickly the previous algorithms in at least one of those languages, on a whiteboard or on a text document (Google Docs).
김문정 : 같은 경우에는 면접 준비할 시간이 충분히 없었어요. 미국에서 돌아오자마자 레주메를 넣고 다음날 전화가 와서 일주일 뒤에 바로 면접을 보았구요. 저는 엔지니어와는 달리 기술면접이 아닌 인성 면접만 봐서 구글에 관한 전반적인 것들을 알고자 도서관에 가서 구글 관련 서적을 찾아 공부했어요. 대학교때 인터넷 마케팅 수업을 들었는데 그 수업이 많은 도움이 되었던 것 같아요.
임자운 : 준비  기간이 짧아서 레주메를 다시 읽어봤고 최대한  말할 있는 경험이나 활동들을 다시  정리해 봤어요.
안은영 : 외국에 있었기 때문에 지원은 빨리 했지만 인터뷰를 늦게 봤어요. 한국에 때문에 돌아오는 비행기에서 면접 책을 보면서 구글 docs 사용해 손으로 코드 짜봤어요.
김재홍 : 인터뷰 정보를 메일로 받아 있는데 인터뷰 전날 보고  준비하고 갔어요. 그런데 별로 나오지는 않았던 같네요
김동혁 : 면접 관련 책이 너무 두꺼워서 봤고 엔지니어에게는 ACM-ICPC준비가 최고라고 생각해요.
이혜진 : 레주메와 전략 보고서를 함께 내야 했는데, 열심히 준비했어요! 저는 1 면접 때는 구글에 대한 기본적인 배경 외에 자신에 대해 많이 생각을 하고 갔어요. 2 영어 인터뷰에서는 제가 아는 모든 것을 영어로 표현해야 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제스쳐와 함께 말하는 연습도 했어요.
최백준 : 인터뷰 준비는  하루 이틀 준비한다고 되는 것이 아니라 평소에 공부해야 하는 거라고 생각해요. 저는 사실상 4 동안 인터뷰 준비한 것이나 다름없어요.




Francois Wouts : At Google Korea, I work on Google Maps for Android. Working at Google is a wonderful experience, everyone is very nice and you have lots of advantages (I just had a free massage an hour ago). The working hours are very flexible, and I enjoy coming to work every day. The (free) food is just delicious.
임자운 : 저는 구글 세일즈에서 일하는데 눈치를 주거나 이런 것은 전혀 없구요. 자신에게 주어진 하면 되는 분위기에요.
안은영 : 작업 환경은 다른 회사에 비해 조용하지만 자유롭게 이야기 있는 분위기에요. 어떤 생각에 대해서 비록 말이 안되더라도 긍정적으로 말씀해 주시고 피드백도 해주세요.
김재홍 : ... 분위기는 조용 하구요.  회의를 때는 왠지 서로 일을 해야 같은 느낌을 주는 같아요.
김동현 : 개발 환경은 대단히 좋아요. 코드를 짜다 보면 짜여진 것을 찾을 있어요. 그만큼 거의 갖추어 있어요.
이혜진 : 매일매일 하는 외에도, 프로젝트/이벤트로 하는 일들은 정말 다이나믹하다고 생각해요. 광고업체든 영상업체와도 만나고, 외부로 답사를 가기도 하고, 하루하루 신나고 재미있어요!!































 김문정 : 인턴을 하면서 야근도 많지만 저에게는 전혀 힘들지 않았어요. 구글은 저에게 일을 즐기면서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기 때문에 일을 더 신나게 많이 할 수 있는 것 같아요.  2 반정도 되었는데 제가 맡은 일에 자부심을 가지고 또 많이 배우는 기회가 되었던 같아요.
최백준 : 대충 일하면 같지만 무언의 압박이 심한 같아요. 하지만 학교에 돌아가서 과제를 하면 모든지 있을 같아요. .. 말로는 표현을 못하겠네요.
Francois Wouts : As an engineering intern at Google, your work can be used by millions of people. It's a lot of responsibility, and you have to do a good job. I learned to be much more rigorous than before!
임자운  : 저는 아직 퇴근시간 외에 힘든 점은 없었던 같구요.  배운 것은 책임감과 적극성의 중요성을 배운 같아요. ! 그런데 저에게는 신기한 것들이 많았어요. 외부에서 없는 실제 데이터를 보니까 재미있고 이런 식으로 시스템이 개발되어 있구나, 개발 환경이 이렇구나 했죠. 어쨌든 구글이란 회사가 상상보다 거대한 데이터를 다루는 것을 느꼈어요.
김동혁 : 열심히 해도 안될 때와 일을 시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자율적이라서 힘든 같아요. 야근은 자율이라 별로 상관 없는 같구요.  배울 점은 대학원에서 연구를 하다 보면 개발 환경이 엉망일 때가 있는데 이곳은 체계적으로 되어있어서 그런 과정들도 배우고요. 모듈 단위로 테스트 하고 리뷰 받고 회의도 형식적이지 않아 좋아요.
이혜진 : 아직 얼마 안되어서 힘든 점이 많이 느껴지진 않아요. 학교와는 달리 일정 예산 안에서 프로젝트를 마음껏 구상하고 실행해 있는 기회는 정말 흔치 않은 같아요. 반대로 생각하면 자칫 잘못되지 않을까 두려울 때도 있지만, 인턴에게 이러한 기회가 많다는 것은 정말 좋아요.









 김문정 : 한국에 이런 회사는 없다고 생각해요.  퇴근시 복장이 자유롭고, 회사 자체가 직원들에게 스트레스 받게 해주는 같아요. 많은 회사에서 제공하는 혜택을 통해 구글의 직원들은 일을 더 열심히 하고 그렇기 때문에 짧은 기간 동안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것 같아요. 구글은 일하기에 정말 좋은 근무 환경을 가지고 있는 것 같아요.

최백준 : 전에 다니던 회사는 돈도 조금 주고 일찍 와서 늦게 가고 혼나는 분위기인데 구글은 돈도 많이 주고 휴가도 많이 주고 살찔 정도로 음식도 맛있고 스트레스도 많이 받아요. 그런데 30분에 번씩 음료수를 마시게 되는 직업병이 생겨요.


 








김문정 : 구글 이라는 회사에 경험을 해볼 수 있다는 것은 정말 인생에서 최고의 순간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적극적이고 활발하고 모든 일에 열정을 가지고 일할 수 있는 그런 사람! 대학 생활중 구글 인턴에 한번쯤 도전해보세요.
최백준 : 토익 만점 토플 만점 필요 없습니다. 인턴 준비하시는 분들 힘내세요!! 인턴을 위해서 무언가를 한다는 것보다는 대학생 많은 것을 해보는 것이 구글에 들어왔을 도움이 많이 거에요.^^
Francois Wouts : Know your lessons, practice your skills and be relaxed when you pass the interviews: no need to be scared of the interviewers, they are always really nice people!
김동혁 : 알고리즘 공부하는 것도 좋은데, 영어도 잘하면 좋고, 창업도 해봤으면 좋겠습니다. 그런 정신으로 살았으면 좋겠어요.
이혜진 : 정말 도전 할만한 가치가 있는 곳이에요. 밖에서 보는 것 보다 상상 이상인 같아서, 도전해 보셨으면 좋겠어요. 화이팅!!







.
저희가 이번에 프로그램 '위대한 탄생'이랑 코어 마케팅해서 플랜카드도 만들고 응원도 직접 하러 갔어요. 그리고 며칠전에 셰인이 왔는데 노래도 감미롭게 불러주시고 사진도 찍고 같이 얘기도 했어요. 아마 동영상도 올릴 계획이에요. 구글은 정말 행사가 많은 같아요.
일주일에 한번씩 TGIF라는 행사도 열리고 어떤 날은 금요일에 하루 날을 잡아 라인을 그려 놓고 걸어서 회사오기도 했어요. 바이크를 타신 분도 있었고, 걸어서 오시는 분도 있었어요.
그리고 저희 회사가 리모델링해서 정말 이뻐졌어요. 라이브러리도 생기고 부스나 게임룸도 생겼어요! 그래서 점심 먹고 나면 항상 구글만의 탁구시합이 열려요.